수직 농장, 이제는 R&D와 부상할 때

Home » 게시판 » 아티클 » 수직 농장, 이제는 R&D와 부상할 때
최근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대규모 연구 및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수직 농장 사업에 비하여 국내의 수직 농장 연구는 정부에서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 주는 중일까? 이번 글은 국내 수직농장 기술에 대한 정부의 R&D 투자 현황을 확인하고 이러한 수치 전반이 시사하는 것에 대한 폭넓은 분석을 중점으로 작성되었다.
Growing Smarter: Boosting R&D for Vertical Farming Success
우선, 국내의 수직 농장에 대한 연구는 수직 농장과 관련된 타 농업 연구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연관된 연구 주제는 시설 원예와 식물 공장이 있는데, 모두 상용성 있는 실내 재배를 목표로 진행하기에 똑같이 실내에서 재배를 진행하는 수직 농장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다량 개발된다. 해당 지식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확인해 보자면, 우리나라의 수직농장 관련한 R&D 지원은 2019년~2022년도 동안 총 264.1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수직 농장, 시설 원예, 식물 공장 연구에 대한 지원금을 모두 합친 값이다. 같은 기간 동안 총 24,461건의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정부 내 주요 지원처는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가 대표적이다.

농업 전반에 대한 연구와 지원은 연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수직 농장에 자체에 대한 R&D 지원 추세는 20년도에 소폭 떨어졌다가 21년도에 복구되고 난 뒤 22년도 이후로 정체 상태에 있다. 반대로 시설 원예와 식물 공장에 대한 연구비와 연구 개수는 매년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인데, 이는 다층 인공광 및 영양분 주입 요소를 어떻게 저렴하게 진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보다 단일 층의 농장을 같은 조건으로 관리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훨씬 도입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수직 농장을 포함한 시설 원예와 식물 공장에 대한 투자 비율은 평균적으로 전체 농업 연구에 지원되는 비용(19~22년도 평균 1,250억대)의 20%를 받고 있으며 연구 개수 역시 동일한 비율을 기록하였다.

그렇다면 정부에서 R&D 지원을 받으며 정확히 어떠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까? 자세한 연구 주제를 모두 기술할 수는 없지만, 수직 농장을 비롯한 시설 원예와 식물 공장의 전반적인 연구 목적은 크게 기초, 개발, 응용 단계의 연구로 구분될 수 있다. 수직 농장과 시설 원예, 식물 공장의 연구 주제는 모두 기본적으로 개발 연구의 목적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결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 먼저 시설 원예의 경우, 다른 2개의 연구 주제에 반하여 전체적으로 각 연구 목적이 고르게 분포해 있는 편인데, 이는 시설 원예를 주제로 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식물 공장도 시설 원예와 유사한 비율 분포도를 보이고 있으며, 해당 주제의 경우 22년도에 들어서면서부터 특히 다부처적으로 지원을 받아 최근 정부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기 시작하게 된 연구 주제라고 볼 수 있다. 수직 농장에 대한 연구 주제는 기본적으로 개발 및 응용에 중점적인 분포를 띄나, 기초적인 연구 목적이 유사한 타 주제들에 비해 현저히 낮다. 이 비율은 새로운 수직 농장 기술에 대한 개발보다는 이미 실체화된 기술의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낮추는 것이 최근 국내 수직농장 연구의 주 목표라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현재 수직 농장에 대한 정부의 R&D 지원은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지만, 그럼에도 동시간대와 동일 비용으로 다른 나라라면 따라잡지 못할 놀라운 발전 속도로 농심팜을 비롯한 국내의 주 기업에서 혁신적인 수직농장 및 스마트 팜 기술을 해외에 선보이고 있다. 그 핵심 비결은 한국의 자랑 중 하나인 ICT 기술에 있을 것이다. 식물 공장과 수직 농장에 대한 주 연구 주제가 ‘스마트 팜 만들기’ 이기 때문인데, R&D 지원으로 이를 위한 수준급의 환경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및 출시 중에 있기에 한국은 세계 속에서 수직 농장 기술의 입지를 확실히 다지고 있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수직농장의 국내·외 동향 및 발전 방향」, 『2024-02호, 산업·기술·정책 동향보고서』, 2024. 참고.